티스토리 뷰
2024 4대보험계산기 4대보험 요율 확인하기
$$\\ 2024. 4. 2. 22:42
2024 년에는 국민 모두에게 중요한 4대보험 요율이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월급여에서 부담하는 사대보험의 금액을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도와주는 것이 바로 '2024 4대보험계산기 '입니다. 이제 함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4대보험 요율
2024 년의 4대보험 요율은 국민연금 9.0%, 건강보험 7.09%, 장기요양보험 0.9182%, 고용보험 1.8%로 변경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험 구분 |
부담금 합계 |
근로자 부담금 |
사업자 부담금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
0.9182%(구방식: 12.95%) |
가입자부담 50% |
사업자부담 50% |
국민연금 |
9.0% |
4.5% |
4.5% |
고용보험 |
1.8%+고용안정 등 |
0.9% |
0.9%+고용안정 등 |
4대 보험 종류와 목적
2024 년도에는 다양한 4대 보험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 노령, 유족, 장애 연금 등 국민 생활 안정과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합니다.
- 건강보험 : 질병 및 부상으로 인한 고액 진료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운영됩니다.
- 고용보험 : 고용안정과 직업능력 개발을 통한 노동시장 연계를 위해 제공됩니다.
- 산재보험 : 업무상 재해 보상 및 근로자 재활과 사외 복귀 촉진을 위해 운영됩니다.
4대 보험 계산 방법
4대 보험 계산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부담하며, 근로자는 직장에서 가입되어 급여명세서에 공제됩니다. 사업주는 사업장 등록 시 4대보험 가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4대 보험 계산기 이용 방법
2024 년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릅니다.
-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에 접속합니다.
- 정보마당 → 4대 사회보험료 모의 계산을 선택합니다.
- 월급여액을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 결과를 확인하여 사대보험료를 확인합니다.
2024 년 4대보험 요율이 변경되면서 사대보험의 부담금도 변화하였습니다. 따라서 '2024 4대보험계산기 '를 통해 월급여에서 부담하는 금액을 미리 확인하여 경제적인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 년 4대보험 요율과 계산 방법을 확인하여 경제적인 결정을 내리세요.
보험 구분 |
요율 |
건강보험 |
월급여의 3.545% (동결) |
장기요양보험료 |
건강보험료의 12.95%(인상) |
국민연금 |
월급여의 4.5% |
고용보험 |
월급여의 0.9% |
4대보험료 총액 |
월급여의 대략 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