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알바생 해고 수습 기간과 노동법 규정 1분정리
$$\\ 2024. 2. 14. 10:15
알바생 해고 에 대한 이해는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특히 수습 기간과 노동법 규정은 알바생과 관련된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알바생의 수습 기간 및 노동법 규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수습 기간 가능 조건
- 근로 계약 기간 1년 이상 또는 근로계약서에 수습 기간 3개월간 최저임금의 90% 적용 명시
- 수습 기간 동안 최저임금의 90%까지 감액 가능
수습 기간 불가 조건
- 단순노무업무에 해당하는 업무는 수습 기간 적용에서 제외
- 편의점 알바는 단순노무업무에 해당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수습 기간 동안 최저임금의 90%를 받음
수습 기간 중 퇴사 및 해고
- 수습 기간 중에 퇴사하더라도 급여를 받아야 함
-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자유로운 해고 불가능
-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정당한 해고 사유 없이 3개월 미만 근로자를 해고할 수 있으나, 해고 절대금지기간을 지켜야 함
'알바생 해고'에 대한 내용
노동법에서는 알바생 해고 에 대한 규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노동법 해고 규정
-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음
- 해고 시 해고사유와 해고 시기를 서면으로 통지해야 함
- 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적용됨
- 모든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업무상 부상, 질병 요양, 휴업, 출산휴가, 육아휴직 중인 동안 해고 불가능
부당해고의 기준
- 정당한 해고사유가 필요함
-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는 부당해고
- 해고사유의 정당성은 사회통념상 판단됨
- 정당한 절차를 따라야 함
정당한 해고사유
- 근로자의 장기간 무단결근, 자금 횡령, 폭행, 성희롱 등
- 해고사유의 정당성은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다름
정당한 해고절차
- 해고 통지를 함
- 해고절차가 명시된 사내규정이 있는 경우, 그 절차를 준수해야 함
- 해고 통지를 하지 않으면 부당해고
해고 금지기간의 해고
- 해고 금지기간 내에 해고는 절대 효력 없음
- 해고 금지기간 위반 시 형사처벌 가능
부당해고 구제신청
- 부당한 해고 통보를 받으면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 가능
- 3개월 이내에 신청 필요
- 근로자와 사용자는 심문회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부당해고 여부를 판정받음
월평균 임금이 300만원 미만인 근로자
- 권리구제업무 대리인을 신청하여 노동위원회에서 무료로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수 있음 (2022년 기준)
- 노동법 해고규정
- 부당해고의 기준
- 해고사유
- 해고절차
- 해고금지기간
- 부당해고 구제신청
댓글